본문 바로가기
IT 지식 쌓기

매크로 이용 암표 거래신고하고 문화상품권 받기?

by 삶은 재미나 2024. 3. 20.

 

2024년 3월 22일부터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공연 입장권 부정 판매를 처벌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공연법' 일부 개정 법률이 시행됩니다. 이를 통해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공연과 스포츠 등의 암표를 근절하는 정책을 더욱 강화하고 문화와 체육 분야의 유통 질서를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문체부는 암표 신고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암표 통합 신고 누리집 (www.culture.go.kr/singo)을 개설했는데요, 국민들이 시행 법령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법령의 상세한 내용과 암표 신고 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신고받은 암표 의심 거래 정보는 입장권 예매처 등에 제공해 속히 조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암표 통합 신고 누리집 ( www.culture.go.kr/singo )

 

또한 공연 성수기에는 암표 신고 장려 기간을 운영하여 그 기간에는 신고를 통해 암표 의심 사례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확보한 경우 신고자에게 문화상품권 등 소정의 사례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과와 협조 체계를 강화하여 상습·반복적인 암표 판매 행위를 단속하고, 위반 행위를 집중 수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암표 근절 캠페인 이미지

 

이번 공연법의 개정으로,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한 암표 판매가 어려워지면 공연 예매 시스템이 보다 안전하고 투명해졌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는데요, 매크로 프로그램이라는게 뭐길래 이런 암표문제까지 만들어 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매크로(Macro)란,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반복적인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재생될 수 있는 이벤트(예: 키 입력, 마우스 클릭, 지연)의 시퀀스(Sequence)입니다. 따라서 매크로를 이용하면 실제 이용자가 티켓을 구매하는 속도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하게 대량의 티켓을 구매하도록 자동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불법 프로그램으로 인한 티켓의 대량 예매로 인해 실제로 공연 관람을 희망하는 소비자가 공정한 방법과 가격으로 티켓을 구매할 확률이 낮아지게 되고, 매크로를 이용하여 대량 구매된 티켓은 고가로 다시 판매하는 암표거래에 악용되기 때문에 공연티켓 시장을 왜곡시켜 시장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문제가 꾸준히 발생해 왔습니다. 

 

이번 문체부의 조치는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한 공연 입장권 부정 판매를 처벌하는 내용만을 담고 있는데요, 따라서 실제로 매크로를 사용해 예매하는 것에 대한 처벌수위를 강화하지 않는다면, 매크로를 이용하지 않는 소비자는 여전히 티켓을 구매하기 어려울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만, 이번 조치가 암표시장을 무너뜨리는데 큰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합니다.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 매크로 프로그램 이용한 암표 구입과 부정 판매, 이제 처벌 대상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MenuCD=0302000000&pSeq=20924&pTypeDept=&pSearchType=01&pSearchWord=&pCurrentPage=1